티스토리 뷰

목차



    신생아도 수면 교육 필요할까?

    이 시기에 아기들은 하루 평균 18시간을 잠을 잔다. 그러다 생후 2~3개월 무렵에 접어들면서 차츰 낮과 밤을 구별하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적절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수면 패턴을 만들고 먹고 자고 싸는 생활의 루틴을 길러준다. 아기 스스로 낮과 밤을 알아채는 것이 중요하다. 아침에는 창문을 활짝 열어 신선한 공기와 빛으로 활동적인 분위기를 만들고 생활소음으로 활기를 준다. 신생아는 얕은 잠을 자기에 작은 소리에도 민감한게 사실하다. 그래서 지나치게 정숙한 환경을 만들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말소리, 물소리 등 적당한 소음이 있어야 아기도 자신이 속한 공간에 적응하게 된다. 지나치게 조용한 환경은 아기를 예민하게 만들 수 있다. 반면 밤에는 불을 끄고 조용한 환경을 만든다. 가로등 불빛 등이 들어오지 않도록 암막 커튼을 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기의 졸음신호를 포착해라

    아기들은 졸릴때마다 제 나름의 신호를 보낸다. 어른처럼 하품을 하기도 하지만 이보다는 칭얼대는 모습을 주로 보인다. 또 눈을 비비거나 귀를 잡아당기는 등의 행동을 보이는데 평소 아기의 졸음 신호를 잘 알아두었다가 이러한 행동을 보일 때 부드럽게 등을 토닥이면 쉽게 재울 수 있다. 리듬이 반복되는 4박자의 자장가도 도움이 되니 참고하면 좋다.

     

    등에 센서 달린 아기 재우기

    예민한 아기들은 안겨 있을땐 곤히 자다가도 내려놓기만 하면 등에 센서라도 달린 듯 잠에서 깬다. 아기가 깨는 이유는 첫째, 포근하고 따뜻한 엄마 품과 이부자리의 환경이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익숙한 채취와 체온이 느껴지는 엄마의 품과 아직 사람의 온기가 없는 이부자리는 아기 입장에서는 갑작스러운 변화일 수밖에 없다. 두번째 이유는 자세 탓이다. 안겨 있을 땐 몸이 적당하게 구부러져 있었는데 이불 위에 눕히면 몸이 갑작스레 펴지며 자세가 바뀌기 때문에 놀라게 된다. 따라서 아기의 등센서를 무력화시키고 싶다면 안고 있던 자세를 유지하며 이불 위에 함께 누워 있다가 서서히 아기를 떼어 놓는다. 다소 번거로울 수 있고 시간이 걸리지만 잘 자던 아기가 깨는 빈도는 한결 줄어들 것이다.

     

    신생아는 언제까지 꽁꽁 싸매서 재울까?

    신생아는 스스로 움직임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지와 상관없이 팔다리가 제멋대로 움직이는데 이런 본인의 움직임 때문에 놀라 깨곤 한다. 팔다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꽁꽁 싸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는 안정감을 주는데 도움이 되지만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에 지나치게 싸매면 체온이 금세 올라 숙면을 방해하거나 기저귀발진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아기의 성장을 지켜보며 속싸개를 헐겁게 싸거나 풀어주는 등 빈도와 강도를 조절한다. 그렇다고 갑자기 속싸개를 사용하지 않으면 아기가 놀랄 수 있으니 처음에는 팔을 뺀 상태로 몸통 위주로 싸준다. 생후 30일 정도가 지난 다음에는 속싸개 대신 내복 바지에 손을 살짝 넣어 손이 마음대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식으로 강도를 약하게 한다.

     

    밤에는 든든하게 배를 채우고 재우기

    위의 용량이 적은 아기들은 배가 고프면 바로 잠에서 깨어 울음을 터트린다. 생후 3개월 무렵부터는 조금씩 통잠을 자기 시작하는데 밤에 잠들기 전 낮보다 조금 더 많은 양을 먹이는 것이 긴 잠을 자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약 혼합 수유 중이라면 가급적 밤에는 모유에 비해 소화가 늦게 되는 분유를 먹이는 것도 방법이다.

     

    엎드려 재워도 될까?

    신생아의 두개골은 아직 말랑말랑하기 때문에 엎드려 재우면 예쁜 머리모양을 만들거나 고개 가누는 연습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신체 기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호흡기에 부담이 갈 수 있다. 게다가 자칫 푹신한 이불에 얼굴을 파묻힐 경우 아기가 혼자서 고개를 돌리지 못해 유아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엄마가 곁에서 자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을 때 잠깐씩 재워도 좋지만 전문의들은 권하지 않는다. 평소 먹는 것을 유난히 잘 게워내는 아기라면 옆으로 재우는 것을 권한다. 자다가 토사물이 자연스레 흘러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나지막한 베개나 동그랗게 만 타월을 등에 대면 옆으로 누운 자세를 안정감 있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