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시기별 가능한 치과치료

    임신 전 기간에 걸쳐 치과 치료는 가능하다. 다만 임신 초기는 태아가 자리 잡는 시기고 말기에는 조산 가능성이 있어 아주 급한 치료를 제외하고는 되도록 피하라고 권하고 있다. 1기(3~13주)에는 응급 치료와 스케일링 정도의 치료가 가능하다. 2기(14~26주)에는 거의 모든 치과 치료가 가능하지만 광범위한 보철이나 큰 수술은 출산 이후로 잡는 것이 좋다. 3기(27~ 40주)는 급성 저혈압 발생 위험이 있어 응급 치료 간단한 잇몸 치료 스케일링 정도만 허용한다. 치과 치료 시 사용하는 마취제에는 혈관 수축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자궁 수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지만, 이는 치료 시 혈관 수축제가 포함되지 않은 마취제를 사용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치과 치료를 받을 때 임신 여부나 가능성을 의사에게 말해 적절한 대비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치주질환이 생기는 이유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에스트로겐은 10배, 프로게스테론은 30배 가까이 증가한다. 또 임신 중에는 혈류량이 45%가량 증가해 빈혈을 초래하기도 한다. 횡격막도 4cm가량 위로 올리와 호흡도 불편해진다. 에스트로겐의 증가로 코의 모세혈관이 충혈돼 비염이 생기기도 한다. 이때 코 호흡이 불편해 입으로 호흡하는 빈도가 높아지면 입안이 건조해져 충치나 잇몸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 에스트로겐에 의해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해 감염 위험성이 높아지며, 타액(침)의 완충작용이 떨어지고 산성화 된다.이리한 산성화로 충치 유발균이 활성화하며 잦은 간식 섭취로 구강위생 또한 불량해진다. 임신 초기에는 입덧으로 칫솔질이 어려워지고 구역질로 인한 위산역류로 입안은 더욱 산성화 된다.. 이렇듯 임신으로 인한 몸의 전신적 변화가 입안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므로 임신 중에는 좀 더 세심한 치아 관리가 필요하다.

     

    치아와 잇몸 관리하기

    단 음심을 피한다. 당분이 많거나 끈적거리는 점성이 높은 음식은 치아에 해롭다. 입덧으로 인해 구토를 한 직후라면 입안은 산성이므로 즉시 칫솔질을 하는 것은 오히려 치아를 부식시킬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엔 물로 깨끗이 양치한 후 치즈 등 알칼리성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사전 치과 검진을 받는다.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치과를 방문해 전체적인 점검을 받고 임신 중 검진 계획을 의사와 함께 세워본다. 대부분 스케일링을 포함한 잇몸 염증 상태의 개선 충치 치료 사랑니 발치 등이 가장 흔한 임신 준비다. 엑스레이도 찍어 치아의 뿌리와 턱뼈 상태도 점검받는 것이 좋다.

    제때 치료를 받는다. 치주 질환이 생겼을 때 엑스레이나 약물등을 꺼려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치과 치료 시의 엑스레이 촬영은 태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별도의 보호 장구(납치마)를 추가로 사용하므로 걱정할 필요가 전혀 없다.

    사랑니는 미리 발치한다. 사랑니는 입안에서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임신 중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예방적으로 빼는 것이 원칙이며, 임신 전 치과 의사에게 확인받고 발치하는 것을 권한다.

    평소 관리에 신경 쓴다.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소 관리가 중요하다. 어떠한 음식을 섭취하든 꼼꼼히 칫솔질을 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다. 칼슘제는 치아를 둘러싼 잇몸뼈를 보호해 주므로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임신으로 인해 칼슘이 빠져나가 치아가 약해지는 것은 아니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임신 중기 검사

    아이가 잘 자라고 있는지 확인하고 기형에 관한 검사를 한다.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 태아의 사망, 임신중독증, 거대아, 신생아 황달증, 저칼륨증, 신생아 당뇨 등의 합병증을 불러올 수 있다. 임신성 당뇨 검사는 보통 임신 24~28주에 실시한다.

    양수검사는 임신 16~18주에 초음파를 이용해 복부를 통해 약 20cc의 양수를 채취한 후 양수 내에 있는 태아 세포의 염색체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만 35세 이상의 임산부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시행한다.

    기형아쿼드검사는 임신 16~18주에 혈액 검사로 시행한다. 다운증후군과 신경관 결손 태아를 알아볼수있다.

    정밀초음파 검사는 임신 22주~25주에 검사로 태아의 장기가 완성되는 시기이므로 정밀 초음파 검사가 가능하다. 정밀초음파 검사는 각종 장기의 위치와 이상여부 기형 평가 등을 할 수 있다.

    빈혈검사는 혈색소 검사를 시행하여 빈열이 있는 경우에는 철분제 복용량을 늘리도록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