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집을 구매할 때 대출과 세금을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이유
집을 살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자금 계획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내 집 마련을 하지만, 대출을 잘못 선택하면 이자가 부담될 수 있고,
세금까지 고려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처음 집을 구매하는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출과 세금 관련 필수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2. 집 구매 시 받을 수 있는 대출 종류 및 조건
✅ 주택담보대출 (주담대)
- LTV (주택담보인정비율): 투기과열지구 최대 40%, 조정대상지역 50%, 비규제지역 70%
- DTI (총부채상환비율): 연소득 대비 대출 상환액 비율 (보통 40~50%)
- 금리: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 보금자리론 (정책 대출)
- 대출한도: 최대 5억 원
- 금리: 연 3.6~4.0% (고정금리)
- 신청 조건: 부부 합산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 8천 5백만 원)
3. 집 구매 시 세금 종류 및 절세 방법
✅ 취득세 (집을 살 때 내야 하는 세금)
주택 가격 | 1주택자 취득세율 | 2주택자 취득세율 |
---|---|---|
1억 원 이하 | 1.1% | 1.1% |
1~3억 원 | 1.3% | 1.3% |
3~6억 원 | 1.5% | 8% |
6~9억 원 | 2.3% | 8% |
9억 원 이상 | 3.5% | 12% |
✅ 재산세 (집을 소유할 때 매년 내는 세금)
- 공시가격 기준 세율: 6천만 원 이하 - 0.1%, 6천만~1억 5천만 원 - 0.15%, 1억 5천만 원 이상 - 0.25%
✅ 양도소득세 (집을 팔 때 내는 세금)
-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2년 이상 보유 + 실거주 2년
- 2주택 이상 보유 시 세율: 1년 미만 45%, 1년 이상~2년 미만 35%, 2년 이상 기본 세율(6~45%)
📌 Tip: 실거주 2년을 채우면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대출과 세금 절약하는 법 정리
- 저금리 대출을 우선적으로 활용
- 생애최초 주택구매 혜택 적극 활용
- 공시가격이 낮은 집을 선택하여 재산세 절약
- 실거주 요건을 충족하여 양도소득세 면제 받기
이 가이드를 참고하면 집 구매 시 대출과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