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아기 재우기 아기졸음신호 포착해라

신생아도 수면 교육 필요할까? 이 시기에 아기들은 하루 평균 18시간을 잠을 잔다. 그러다 생후 2~3개월 무렵에 접어들면서 차츰 낮과 밤을 구별하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적절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수면 패턴을 만들고 먹고 자고 싸는 생활의 루틴을 길러준다. 아기 스스로 낮과 밤을 알아채는 것이 중요하다. 아침에는 창문을 활짝 열어 신선한 공기와 빛으로 활동적인 분위기를 만들고 생활소음으로 활기를 준다. 신생아는 얕은 잠을 자기에 작은 소리에도 민감한게 사실하다. 그래서 지나치게 정숙한 환경을 만들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말소리, 물소리 등 적당한 소음이 있어야 아기도 자신이 속한 공간에 적응하게 된다. 지나치게 조용한 환경은 아기를 예민하게 만들 수 있다. 반면 밤에는 불을 끄고 조용한 환경을 만든다..

카테고리 없음 2024. 4. 6. 21:12
출산 후 건강 관리 산후비만, 산후 우울증 조심하기

출산으로 인해 체력이 많이 저하되고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는 등 산모의 몸에 여러 변화들이 생긴다. 탈모나 산후 비만, 질염, 치질, 유선염, 산후 우울증 등 출산 후 산모의 빠른 회복을 위해 관리해야 한다. 땀을 내거나 목욕을 해도 될까? 억지로 땀을 내지 않는다. 산후에는 땀을 충분하게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후에는 열감이 생겨 땀이 저절로 흐르는데 땀은 노폐물을 원활하게 배출하고, 산후 부기를 가라앉히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찜질방에 가거나 한여름에도 이불을 뒤집어쓰는 등 과도하게 땀을 배출하면 탈진이나 땀띠, 감염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삼간다. 샤워는 따뜻한 물로 자주 한다. 산후에는 땀이나 오로 같은 분비물로 인해 불결해질 수 있고, 특히 회음부 절개 부위의 감염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몸을..

카테고리 없음 2024. 4. 5. 23:41
출산 후 산후 검진 항목 빈혈검사, 소변검사

임신 기간에는 원칙적으로 여러 가지 산과 검사를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자궁 등의 기관은 10개월 넘게 방치되어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후 검진은 산후 몸조리가 제대로 됐는지 확인해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자궁암과 유방암 등 여성 관련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해 준다. 또 배란일과 생리 시작인, 성생활, 출산 후 피임법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임법을 선택할때도 산모의 몸 상테을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 만일 피임 기구를 자궁내에 삽입한다거나 먹는 피임약을 사용하기로 했다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 해야한다. 또 성생활과 관련해서는 난산으로 인해 회음부 절개 상처가 크거나 아물기 전에 성생활 등을 한 경우 상처가 오래가고 자칫 염증이 생길수 있으므로 산후 검사를 ..

카테고리 없음 2024. 4. 4. 23:59
순산의 의미와 분만 호흡법의 종류

순산의 의미 의학적으로 순산(정상 분만)은 의학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연의 힘에 의해 산도를 통해 정상 상태에서 출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뜻한다. 이에 반해 난산(이상 분만은 모체나 태아에 문제가 있어 출산시기나 방법, 경과에 이상이 있는 것을 의미하다 분만 시기는 출산 예정일을 전후로 2주 안에 출산을 하면 시기상으로는 정상 분만에 속하며, 반대로 만 37주 이전에 출산하면 조산, 예정일보다 2주 이상 늦어질 경우 만산으로 두 경우 모두 이상 분만으로 분류된다. 특히 태반은 임신 42주가 넘어가면 노화하는데 이 상태에서 자궁이 수축하면 산소 부족으로 태아가 위험해질 수 있다. 따라서 임신 42주가 넘어서면 이미 정상 분만의 조건을 벗어났다고 볼 수 있다. 초산부인 경우에는 출산 예정일에 분만하기보다 예정..

카테고리 없음 2024. 4. 3. 17:15
출산 임박신호와 분만 시작의 알림

출산 임박 신호 배가 자주 땅긴다 : 분만에 대비해 자궁이 수축 운동을 하므로 배가 자주 땅기는데 이를 가진통이라고 한다. 가진통은 임신 9개월 중순 이후에 자주 나타나며 허리 부분이 아프거나 아랫배가 단단해지며 약한 진통을 느끼기도 한다. 하루에도 여러 번 불규칙하게 나타나며 분만이 다가올수록 빈도가 높아진다. 위 위가 가벼워진다 : 태아가 출산을 위해 골반 안으로 내려가 눌려 있던 위장이 부담을 덜 받아 속이 편안해진다. 또 숨쉬기가 쉬워지고 식욕이 증가하며 몸도 가벼워지는 느낌이 든다. 소변이 자주 마렵다. 골반 밑으로 내려온 태아가 방광을 누르기 때문에 소변을 자주 본다. 특히 소변을 보기 위해 밤에 2~3회 정도 깨어 잠을 설치기도 한다. 태동이 줄어든다: 태아가 세상에 나오기 위해 골반 안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4. 4. 2. 12:45
임신 중 궁금한 점 음주와 흡연, 커피와 카페인

엽산과 철분 외에 임신부가 꼭 챙겨 먹으면 좋은 영양소는? 비타민과 유산균, 칼슘을 들 수 있다. 비타민 A는 태아의 뇌와 눈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아주 중요한 영양소지만, 과량(2만5000IU이상)을 섭취할 경우 기형아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임신 중 비타민 B1이 부족하면 쉽게 피로를 느끼고 전신 권태, 다발근육염, 부종, 유산과 조산 등의 원인이 된다. 비타민 B2는 리보플라빈이라는 수용성비타민으로, 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담당하고 태아의 발육 장애를 막아준다. 비타민 B6와 B2는 입덧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비타민E는 비타민A의 흡수를 돕고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를 막고, 유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임신 초기에 잘 챙겨 먹도록 한다. 유산균은 위에서 분해되지 못하는 음식물이 인체..

카테고리 없음 2024. 4. 1. 09:28
임신 후기 나타나는 몸의 현상과 자세별 예방법

임신부에게 나타날 수 있는 현상 출혈 : 만삭 임신부에게는 진통 전 이슬이 비치는 것처럼 질 출혈이 정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조기 진통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때 통증이 없으면서 질 출혈로 이불을 적실 정도라면 태반의 위치가 비정상적인 전치태반이 동반될 수 있다. 전치태반은 제왕절개수술 후 태반이 떨어진 부위에 출혈이 지속되어 수혈이 필요하거나 드물게 자궁적출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배의 통증 : 만삭 임신부는 가진통이 잘 발생하는데. 자궁경부가 열리기 시작할 때는 조기 진통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보통 가진통은 간격이 불규칙하고 길며, 진진통과 달리 강도가 세지 않을 때도 있다. 반면 진진통은 규칙적이고 리듬이 있으며, 자궁경부의 개대를 동반한다. 혈압 ..

카테고리 없음 2024. 3. 29. 14:13
임신 10개월 36주부터 출산까지 주의할 점과 후기 검사

곧 사랑스러운 아이와 만나는 시기이다. 태아가 골반 쪽으로 내려가 위는 편인해지지만 방광이 압박을 받아 소변을 자주 본다. 불규칙한 복부 땅김이 자궁문과 질이 부드러워지고 분비물도 늘어난다. 아이가 골반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태동은 줄어든다. 휴식을 취하면서 복식호흡을 하면 태아에게 산소 공급을 해줄 뿐 아니라 출산 시 필요한 호흡연습을 미리 하는 셈이다. 체중이 자나치게 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섭취한다. 임신 10개월 주의할 점 정기검진을 잊지 않는다. 배가 많이 불러 넘어지기 쉬우므로 걸을 때 조심한다. 출산에 필요한 체력을 기르기 위해 충분한 휴식, 영양, 수면을 취하도록 하고 성생활은 조심한다. 이 시기에는 임신중독증, 이상 출혈 등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자신의 몸 상태를 주의 ..

카테고리 없음 2024. 3. 28. 17:31
이전 1 ··· 20 21 22 23 24 25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